전체메뉴 전체메뉴 닫기

아리수 이야기

건강하고 가치있는선택, 아리수
  • 담당 : 권창범
  • 부서 : 생산관리과
  • 전화 : 02-3146-1314
home > 아리수 이야기 > 아리수 생산 > 아리수 공급 > 고도정수처리

아리수 공급

아리수홍보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아리수는 시민의 입맛에 맞는 맛있고 믿을 수 있는 물입니다
Arisu 아리수

고도정수처리시설 구축

서울시 상수도는 한 단계 더 고품격의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기존의 수돗물 생산 공정인 표준정수처리방식에 오존과 입상활성탄(일명 숯)공정을 추가하는 고도정수처리시스템을 2010년 영등포정수센터를 시작으로 2015년까지 6개 정수센터에 도입했습니다. 고도정수처리는 갈수기 수질악화에 따른 맛과 냄새 유발 물질의 제거와 잔류항생제 등 미량유기물질을 산화, 제거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기존 정수처리에 비해 월등히 향상된 정수처리 기술입니다.

맛 Up,
소독냄새 Down
오존 유기물 질산화

오존은 산소원자 3개가 결합된
기체이다. 오존의 강력한 산화력을 이용, 맛, 냄새물질, 소독부산물,
미량유기물질을 산화 분해하여
제거하며, 강력한 소독효과도 있다.

입상활성탄(숯)

활성탄이란 탄소물질을 함유한
석탄, 목재 등을 탄화 및 활성시킨 것으로, 미세한 기공구조와 넓은
표면적을 가지고 있어 수돗물내의 맛과 냄새물질을 흡착제거하는
탁월한 효과를 가진다. 형태에 따라 분말활성탄과 입상활성탄이
있으며, 통상 고도정수처리는 입상활성탄을 사용하는 방식을 말한다.

염소 분산 재투입

지금까지 정수장에서만 실시하던 염소소독을 배수지, 가압장 등에서 분산 주입함으로써 수돗물 음용 시 염소냄새로 인한 거북한 느낌이
없도록 한다.

알아두세요

맛있는 물이란 ?
일반적으로 물 냄새가 나지 않고 미네랄이 풍부하며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의 량 (용존산소_dissolved oxygen)이 충분하여 음용 시 청량감을 느낄 수 있는 물
  • 01미네랄이 풍부하여야 하며, 중금속 등 유해성분이 없어야 한다.
  • 02용존산소가 충분히 녹아 있어야 하고, 산소가 5㎎/L 이상 이어야 한다.
  • 03온도 또한 물맛을 좌우하는 인자로서 4~15℃에서 가장 청량감을 느낀다.

믿을 수 있는 아리수 탄생과정을 소개합니다.

1.취수원, 2.취수장, 3.착수정, 4.혼화지, 5.응집지, 6.침전지, 7.여과지, 8.고도정수처리, 9.염소투입, 10.배수지, 11.가정

아리수 생산과정

  1. 취수원 - 서울시 수돗물의 원료는 팔당댐부터 잠실 수중보 상류의 한강물입니다.
  2. 취수장 - 한강변에 위치한 취수장에서 강물을 끌어들여 아리수정수 센터로 보냅니다. 생물경보시스템과 수질자동감시장치를 이용하여 24시간 실시간 수질을 감시합니다.
  3. 착수정 - 취수장으로부터 도착한 원수를 안정시키고 수량을 조절하는 곳으로 수질에 따라 분말활성탄 등을 투입하여 혼화지로 보냅니다.
  4. 혼화지 - 착수정에서 보내용 물에 적정량의 정수처리 약품을 넣고 섞는 곳입니다. 정수약품은 세한 입자들 (콜로이드성 물질)을 큰 덩어리로 뭉치게 해줍니다.
  5. 응집지 - 약품과 탁질이 잘 섞이도록 물을 서서히 저어주면 탁질이 엉겨 붙어 크고 무거운 덩어리(플록)가 만들어집니다.
  6. 침전지 - 응집지에서 크게 형성된 덩어리를 가라앉혀 맑은 윗물을 여과지로 보내는곳 입니다. 가라앉은 덩어리는 수분을 제거한 다음 시멘트원료 등으로 재활용하거나 매립합니다.
  7. 여과지 - 침전지를 통화한 물을 모래와 자갈층을 통과시키면 물속에 남아 있던 작은 입자들마저 깨끗하게 걸러집니다.
  8. 고도정수처리 - 오존과 입상활성탄 공정으로 오존의 특성인 강력한 산화력과 활성탄의 특성인 탁월한 흡착력을 이용한 처리 공정을 거쳐 보다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만듭니다.
  9. 염소투입 - 여과된 깨끗한 물에 소량의 염소를 넣어 소독합니다. 이 공정은 미생물에 대해 위생적이고 안전한 수돗물을 만드는 최종 공정입니다.
  10. 배수지 - 배수지는 아리수정수센터에서 보낸 물을 각 가정으로 보내기 전까지 저장하는 중간 물탱크입니다. 주변에서 가장 높은 지대에 있으며, 배수관을 통하여 각 가정으로 수돗물을 나누어줍니다. 사고로 인해 일시적으로 수돗물을 생산하지 못하는 때를 대비하여 물을 저장하는 역활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