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서울시, 신재생에너지 보급 박차…수돗물 생산전력 자립률 높인다 | ||
---|---|---|---|
□ 서울시가 2022년까지 아리수정수센터 등의 부지에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를 설치해 서울 수돗물 아리수의 생산에 소요되는 전력량(486GWh)의 37%(182GWh)를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시 상수도사업본부는 2009년부터 아리수정수센터 등에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보급해 2017년 9월말 현재 15,169㎾(태양광발전설비 12,002㎾, 지열냉난방시스템 2,867㎾, 소수력발전설비 300㎾)의 설비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를 통해 지난해에는 5천여 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18.7GWh의 전력을 생산하여 8억 원의 수익을 낸 바 있다. □ 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이처럼 신재생에너지 보급으로 전기요금 절감과 임대수익 등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수돗물 아리수를 시민들에게 더욱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남에 따라 서울시의 원전하나 줄이기 시책의 일환으로 태양광 및 연료전지 발전설비를 확대 설치하는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 먼저 시 상수도사업본부는 2022년까지 아리수정수센터 및 수도사업소 부지 34개소에 태양광 발전 설비 10MW를 추가 설치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본부는 정수센터와 수도사업소 등에 태양광 발전 설비를 설치할 수 있는 유휴 부지에 대한 전수조사를 완료하였으며, 당장 2018년에 구의아리수정수센터 주차장 등 10개소에 태양광 발전 설비를 설치할 예정이다. 민간투자사업으로 부지 임대 후 임대수입을 올리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본부는 수돗물 생산과 공급에 소요되는 전기요금을 직접 절감할 수 있도록 국비지원 사업 등을 최대한 활용하여 설치하고, 재원 마련이 어려울 경우 민간투자방식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 또한 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시 기후환경본부와 협업을 통해 암사아리수정수센터에 전기와 열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연료전지 20MW를 2019년까지 설치하여 서울시의 에너지 자립도 향상에 기여할 예정이다.
□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아리수정수센터 등에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가 추가 설치되면 기존 설비와 함께 2022년 이후부터 매년 182GWh 전력량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상수도사업본부의 신재생에너지 전력량 182GWh는 아리수 생산보급에 소요된 전력량(486GWh)과 비교해 볼 때 37%의 전력을 신재생에너지로 자립하는 량이다. 이는 3만8천 톤의 원유 수입 대체 효과가 있으며, 태양광 발전 설비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자체 사용할 경우 연간 37억 원의 전기요금 절약도 기대된다고 본부는 설명했다. □ 상수도사업본부의 신재생에너지에 의한 자립율 37%는 우리나라의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 목표가 2030년까지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의 37%인 점을 감안할 때 정부 목표를 10년 앞당겨 달성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본부는 설명했다.
□ 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에너지 프로슈머로서 앞으로도 상수도 시설 개량 또는 증축을 계획할 때 신재생에너지 설비 설치도 함께 추진해 정부 및 서울시의 신재생에너지 보급 정책에 앞장설 계획이다.
□ 윤준병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아리수정수센터 등에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확대 설치하는 것은 전기요금 절감과 새로운 에너지 자원 발굴, 환경보호 등 여러 장점이 있다”며 “지속적으로 신재생에너지를 보급해 경영개선과 함께 에너지 보존 및 환경보호에도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
|||
첨부파일 | 보도일자 | 2017-10-11 |